본문 바로가기

경제핥기39

국민연금 개혁 논쟁, 모수개혁 vs. 구조개혁 이전에 대한민국의 초고령사회 진입과 국민연금 고갈 문제에 대한 글을 썼었는데요. https://future-past1.tistory.com/7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국민연금 개혁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유엔은 65세 이상인 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일 경우 초고령사회로 구분합니다. 대표적인 초고령사회로는 가까운 나라 일본이future-past1.tistory.com 최근 야당이 모수개혁(Parametric Reform) 추진을 주장하면서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고갈 위기에 대해 다시 짚어보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모수개혁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1. 국민연.. 2025. 2. 22.
엔비디아 투자로 주가 2배 상승, 위라이드에 대해 최근 엔비디아가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위라이드(WeRide)에 약 5,700만 달러(약 750억 원)을 투자한 사실이 공개되며, 위라이드의 주가는 장중 2배 이상 급등했습니다.  위라이드는 2017년, 미국 미주리 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 출신이자, 바이두(Baidu)에서 자율주행 연구소(Apollo Project)를 이끌었던 Tony Han (한쉬에우펑)이 창업하였습니다. 이력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Tony Han은 자율주행 및 AI 분야의 전문가인데요. 바이두에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주도하다가, 더 혁신적인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독립하여 위라이드를 설립했습니다. 사실 자율주행하면 일론머스크의 테슬라와 구글의 웨이모가 제일 먼저 떠오르긴 하지만, 위라이드도 만만치 않은 중국의 대표적인 .. 2025. 2. 21.
Crispr-Cas9, 유전자 가위와 관련 기업들 분석 2020년 노벨화학상은 유전자 편집 기술인 CRISPR-Cas9을 최초로 규명한 공로로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와 에마뉴엘 사르팡티에(Emmanuelle Charpentier) 두 여성 과학자에게 수여되었습니다. 당시 한국인 과학자 김진수 교수도 후보로 거론되며 주목을 받았으나 아쉽게도 수상에는 실패하였습니다. CRISPR-Cas9 기술은 유전자 편집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도구로, 흔히 유전자 가위라고 불립니다. 특히, 혁신적인 기술에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한 ARK 인베스트먼트의 CEO 캐시 우드(Cathie Wood, 흔히 돈나무 누나라고 부르죠)가 인터뷰에서 CRISPR-Cas9을 미래를 바꿀 기술로 언급하며 다시 한번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RISPR-Cas9.. 2025. 2. 20.
영상 AI의 혁명, 트웰브랩스에 대해 알아보자! 저는 영어 공부를 하면서 챗GPT를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사용했을 때 기존의 네이버 파파고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번역 성능을 보여주었고, 정말 신세계를 경험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후 단순한 번역 뿐만 아니라 궁금한 게 생길 때마다 챗GPT에게 물어보는데요. 하지만 챗GPT는 기본적으로 언어 AI이기 때문에 확장성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 틈을 비집고 들어와 영상 AI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등장했는데, 바로 '트웰브랩스(Twelve Labs)'입니다.1. 트웰브랩스란?트웰브랩스는 2021년에 설립된 AI 스타트업으로, 영상 AI 분석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엔비디아로부터 투자를 받을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웰브랩스의 창업 과정이 흥미로운데데요. .. 2025. 2. 19.
사망률 1위 암, 액체생검으로 정복? 2023년 한국에서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었습니다. 사실 이는 놀라울 일이 아닙니다. 과거 몇 년간 지속적으로 암은 사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심장 질환과 폐렴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질병과 비교해보면 암의 사망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암은 크게 처음 발생한 장기의 암인 원발암(Primary cancer)과 다른 장기로 이동한 전이암(Secondary cancer)으로 나뉩니다. 전이암은 원발암의 암세포가 혈류나 림프계를 타고 이동해 다른 장기에서 새롭게 증식하는 암을 뜻합니다. 특히 전이암은 매우 치명적이며, 암환자의 90%가 전이암으로 사망할 정도로 위험합니다. 따라서 암 치료의 핵심은 암이 전이되기 전에 조기에.. 2025. 2. 18.
지속가능항공유(SAF)와 관련 투자 기업 2025년 현재,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은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는 명백한 사실입니다. 과학자들은 이미 지구온난화를 완전히 막을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으며, 이제는 그 속도를 늦출 수만 있을 뿐이라고 말하죠. 그럼에도 세계 각국은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중 항공 산업에서도 '지속가능항공유(SAF, Sustainable Aviation Fuel)'가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1. 지속가능항공유(SAF, Sustainable Aviation Fuel)란?지속가능항공유는 폐식용유, 동식물성 기름, 농업 부산물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원료로 하여 생산되는 친환경 대체 연료입니다. 기존 화석 연료 기반 항공유(Jet A-1)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 2025. 2. 17.
적립식 투자와 코스트 에버리징: 꾸준함이 만드는 부의 기적 돈을 많이 벌고 싶은 마음은 모두가 같을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시작하죠. 그러나 투자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결정 중 하나는 바로 "언제 매수해야할까?"일 것 같습니다. 물론 그에 앞서 "어떤 기업이나 자산에 투자해야할까?"라는 고민이 선행되겠지만, 최근 ETF 투자자의 증가로 인해 매수 시점에 대한 고민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은 시장이 상승할 때 사야 할지, 하락할 때 사야 할지를 고민하다가 결국 적절한 매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줄이면서도 장기적으로 성공적인 투자 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적립식 투자입니다.1. 적립식 투자란?적립식 투자는 일정한 금액을 정기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입니.. 2025. 2. 16.
주가 반토막난 더본코리아, 프랜차이즈 상장의 어려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 100명을 꼽으라고 하면 아마 유재석부터 시작해 이재용, 윤석열 등 다양한 인물이 거론되겠지만, 그중에서 백종원 대표가 없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만큼 백종원 대표는 한국 외식업계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특히 최근 '흑백요리사' 프로그램을 통해 인기가 치솟았습니다.  이러한 대중적 인지도와 사업적 성과를 바탕으로, 2024년 11월 6일, 그의 회사 더본코리아가 코스피 시장에 당당히 상장했습니다. 게다가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보기 드문 직상장에 성공한 것인데요. 이는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 말고는 없을 정도로 드문 사례입니다. 그러나 상장 이후 주가는 6만 원에서 3만 원대로 반토막이 났습니다. 물론, 최근 '빽햄' 가격 논란 등 단기적인 이슈도 주가 하락의.. 2025. 2. 14.
네거티브 규제와 한국의 뒤처지는 기술 개발 ChatGPT를 비롯한 AI 기술이 등장하면서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지는 것 같습니다. AI와의 대화 방식은 점점 인간과 유사해지고 있으며,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영상이 생성되며, 코딩조차 AI가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죠. 그러나 한국의 기술 발전 속도는 미국이나 중국 등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더딘 편입니다. 단순히 인력 부족 문제 때문이 아니라, 많은 전문가들은 규제 방식이 중요한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합니다. 한국은 '포지티브 규제'를 채택하고 있어, 법적으로 허용된 것만 할 수 있고 그 외의 것은 금지됩니다. 반면, 혁신을 촉진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네거티브 규제’는 법적으로 금지된 것만 명시하고, 나머지는 자유롭게 허용하는 방식입니다. 실제로 기술 혁신.. 2025. 2. 13.
지역화폐, 경기회복의 해답일까? 글로벌 주요 기관들이 발표한 올해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대 이하의 수준입니다. 모건스탠리는 1.5%, 캐피털이코노믹스는 1.1%까지 낮춰 잡았으며, 한국은행 또한 1.6%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경제성장률 전망이 저조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약화, 중국기업들의 공격적인 시장 확장, AI 기술력 저하 등 수많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경기회복을 위한 다양한 대책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지역화폐' 발행입니다. 사실 제 주변에서 지역화폐를 쓰는 사람은 저희 부모님밖에 보지 못했지만, 부모님께 들어보니 할인율이 꽤나 있어 좋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글을 통해.. 2025. 2. 12.
ELB와 투자전략 지난해 초 경제 뉴스에서 가장 큰 논란을 일으킨 사건 하나로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 사태가 있었습니다. 특히, 충분한 설명 없이 시중 금리 대비 2배 이상의 수익이 가능하다고 홍보, 판매되며 더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는데요. 이 사건으로 인해 24년 한 해 동안 증권사들의 ELS 발행 규모는 전년 30조 원 대비 절반인 15조 원으로 줄어들어 증권사들의 수익성에 타격을 받았죠. 이처럼 ELS의 인기가 시들어지자 투자자들은 새로운 대안을 찾기 시작했는데 바로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입니다.1. ELB란?ELB는 특정 주가지수(KOSPI200 등)나 개별 종목(삼성전자, 현대차 등) 주가를 기초자산으로 삼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약정된 수익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입니다... 2025. 2. 12.
바이오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코오롱 인보사 사건 국내 주식 투자자들에게 있어 바이오 산업만큼 매력적인 섹터는 없을 것입니다. 신약 개발과 관련된 임상 진입, 기술 수출, FDA 승인 등의 뉴스가 나올 때마다 주가는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죠. 하지만 높은 기대만큼 리스크도 큰 분야입니다. 비전문가인 개인 투자자는 신약 개발의 실제 진행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며, 심지어 전문가라고 하더라도 내부자가 아니면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지, 아니면 기업이 허위 정보를 흘리는지 알기 힘듭니다. 결국 하한가라는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투자자들이 놓지 못하는 애증의 섹터가 바로 바이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바이오 시장의 대표적인 사건 중 하나인 코오롱 인보사 사태를 알아보면서, 바이오 투자 시 고려해야 할 리.. 2025.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