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8

알리바바의 비디오 생성 모델 'Wan2.1' 공개 2025년 2월 26일, 중국하면 떠오르는 거대 기업 알리바바가 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인 '완(Wan) 2.1'을 공개했습니다. 이 모델은 텍스트나 이미지를 입력받아 고품질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중국어 이해 능력이 뛰어나고 복잡한 신체 동작을 안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 모델은 성능 평가 도구인 브이벤치(Vbench)에서 86.22%의 총점을 기록하여, 오픈AI의 영상 생성 AI '소라'의 84.28%를 능가하는 성과를 나타냈다고 합니다. 알리바바의 AI 연구는 알리바바 다모 아카데미(DAMO Academy)와 같은 연구 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데요. 2023년 8월, 알리바바는 첫 오픈소스 AI 모델인 '큐원-7B(Qwen-7B)'를 공개하며 AI 분야에 모습을.. 2025. 3. 3.
2025년 중국 민영기업 심포지엄과 중국 주식 투자 힌트 2025년 2월 17일, 시진핑 주석 주최로 중국 민영기업 심포지엄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는 2018년 이후 처음 열린 민간기업인 간담회로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요. 특히, 중국 최고 지도자인 시진핑 주석과 민영기업 대표들이 직접 대화하는 자리인 만큼,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 기업들은 중국이 향후 몇 년간 집중할 산업 분야를 가늠할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2018년 11월에 열린 민영기업 심포지엄에서는 완샹 그룹(Wanxiang Group), 뉴소프트(Neusoft Corporation), 헝루이 제약(Jiangsu Hengrui Medicine) 등의 기업이 참석했습니다. 완샹 그룹은 자동차 부품 제조를 핵심 사업으로 하며, 최근에는 신에너지 및 농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2025. 3. 1.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범인 중복상장, 상법 개정으로 바뀔까?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상법 개정안이 주식 투자자들, 특히 국내 시장 투자자들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안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내용은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것일텐데요. 이 개정이 이루어질 경우, 그동안 만연했던 중복상장으로 인한 더블카운팅(double counting) 문제가 줄어들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중복상장은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왔는데요. 대표적인 사례로 시장을 뜨겁게 달군 LG에너지솔루션의 IPO부터 두산밥캣의 분할/합병 논란, 현대차 인도법인 상장, LG CNS 상장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국내 증시에서 지배구조상 중복상장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주.. 2025. 2. 28.
재건축/재개발, 돈이 되는 투자 타이밍은? 최근 서울 용산구 한남, 송파구를 비롯해 서초구 신반포 2차 등 재건축 단지들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재건축이 진행된다는 이유만으로 인기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인건비 및 자재비 상승으로 인해 재건축이 지연되거나 사업성이 악화되는 등 여러 복합적인 이슈가 얽혀 있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재건축/재개발의 개념과 진행 과정, 그리고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주요 포인트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1. 재건축과 재개발의 개념기본적으로 아파트는 다세대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이지만, 한 번 지어지면 최소 20~30년간 유지됩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건물이 노후화되면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주거 환경이 열악해지는 등의 이유로 재건축이 필요해집니다. 재건축과 재개발은 노후 건축물을 철거하고 .. 2025. 2. 27.
세계 최대 암호화폐 해킹 사건, 바이비트의 이더리움 도난 현지시간 2025년 2월 21일, 두바이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에서 대규모 도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일간 거래금액이 10조 원에 달하는 세계 2위 거래소인 바이비트에서 이번 사건이 일어나면서,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과거 FTX 거래소 파산과 유사한 시장 충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조사 결과, 약 40만 개의 이더리움(ETH)과 이더리움 기반 토큰이 탈취되었으며, 이로 인한 피해 규모는 한화 약 2조 1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해커들이 바이비트가 소유한 콜드 월렛 자체를 직접 침입한 것이 아니라, 콜드 월렛에서 핫 월렛으로 자금을 이체하는 과정에서 보안 취약점을 노려 공격을 감행했다는 사실입니다. 우선, 해당 사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콜드 .. 2025. 2. 26.
우리금융지주 사례로 본 비과세 배당의 기회와 리스크 최근 우리금융지주가 2월 7일 발표된 경영실적에서 비과세 배당 도입 계획을 공개하며, 주가가 파죽지세로 오르고 있는데요. 7일 만에 무려 10% 이상 오르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배당금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를 부담해야 하는 반면, 비과세 배당은 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투자자들은 15.4% 만큼의 자금을 추가로 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비과세 배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비과세 배당이란?비과세 배당의 핵심은 배당 지급의 원천이 되는 자본의 성격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물건을 팔고 남은 금액에서 인건비, 임대료, 세금 등을 제하고 남은 금액을 투자, 배당, 혹은 미래를 위한 저축.. 2025. 2. 25.
수술 로봇 최강자, 인튜이티브 서지컬 분석 최근 AI 열풍에 이어 2025년 주식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테마로 로봇이 등장했습니다. 사실 로봇은 이전부터 주목받던 테마였는데요. 특히 한국에서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에 투자하면서 국내 시장에서 강력한 테마주로 떠올랐죠.로봇하면 로봇청소기인 로보락이나 보스턴 다이내믹스, 테슬라 같은 기업이 먼저 떠오를 수 있는데요. 하지만 로봇이 가장 필요한 분야 중 하나는 바로 의료, 특히 수술입니다. 기존 수술 방식은 인간의 손에 의존하다 보니 실수로 인한 의료 사고 가능성이 존재했지만, 로봇이 도입되면서 정밀한 수술이 가능해졌고, 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큰 주목을 받는 기업이 바로 미국 나스닥 상장사 인튜이티브 서지컬(Intuitive Surgical, ISRG)입니다.1. 인튜이.. 2025. 2. 23.
국민연금 개혁 논쟁, 모수개혁 vs. 구조개혁 이전에 대한민국의 초고령사회 진입과 국민연금 고갈 문제에 대한 글을 썼었는데요. https://future-past1.tistory.com/7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국민연금 개혁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유엔은 65세 이상인 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일 경우 초고령사회로 구분합니다. 대표적인 초고령사회로는 가까운 나라 일본이future-past1.tistory.com 최근 야당이 모수개혁(Parametric Reform) 추진을 주장하면서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고갈 위기에 대해 다시 짚어보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모수개혁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1. 국민연.. 2025. 2. 22.
엔비디아 투자로 주가 2배 상승, 위라이드에 대해 최근 엔비디아가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위라이드(WeRide)에 약 5,700만 달러(약 750억 원)을 투자한 사실이 공개되며, 위라이드의 주가는 장중 2배 이상 급등했습니다.  위라이드는 2017년, 미국 미주리 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 출신이자, 바이두(Baidu)에서 자율주행 연구소(Apollo Project)를 이끌었던 Tony Han (한쉬에우펑)이 창업하였습니다. 이력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Tony Han은 자율주행 및 AI 분야의 전문가인데요. 바이두에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주도하다가, 더 혁신적인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독립하여 위라이드를 설립했습니다. 사실 자율주행하면 일론머스크의 테슬라와 구글의 웨이모가 제일 먼저 떠오르긴 하지만, 위라이드도 만만치 않은 중국의 대표적인 .. 2025. 2. 21.
Crispr-Cas9, 유전자 가위와 관련 기업들 분석 2020년 노벨화학상은 유전자 편집 기술인 CRISPR-Cas9을 최초로 규명한 공로로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와 에마뉴엘 사르팡티에(Emmanuelle Charpentier) 두 여성 과학자에게 수여되었습니다. 당시 한국인 과학자 김진수 교수도 후보로 거론되며 주목을 받았으나 아쉽게도 수상에는 실패하였습니다. CRISPR-Cas9 기술은 유전자 편집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도구로, 흔히 유전자 가위라고 불립니다. 특히, 혁신적인 기술에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한 ARK 인베스트먼트의 CEO 캐시 우드(Cathie Wood, 흔히 돈나무 누나라고 부르죠)가 인터뷰에서 CRISPR-Cas9을 미래를 바꿀 기술로 언급하며 다시 한번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RISPR-Cas9.. 2025. 2. 20.
영상 AI의 혁명, 트웰브랩스에 대해 알아보자! 저는 영어 공부를 하면서 챗GPT를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사용했을 때 기존의 네이버 파파고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번역 성능을 보여주었고, 정말 신세계를 경험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후 단순한 번역 뿐만 아니라 궁금한 게 생길 때마다 챗GPT에게 물어보는데요. 하지만 챗GPT는 기본적으로 언어 AI이기 때문에 확장성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 틈을 비집고 들어와 영상 AI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등장했는데, 바로 '트웰브랩스(Twelve Labs)'입니다.1. 트웰브랩스란?트웰브랩스는 2021년에 설립된 AI 스타트업으로, 영상 AI 분석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엔비디아로부터 투자를 받을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웰브랩스의 창업 과정이 흥미로운데데요. .. 2025. 2. 19.
사망률 1위 암, 액체생검으로 정복? 2023년 한국에서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었습니다. 사실 이는 놀라울 일이 아닙니다. 과거 몇 년간 지속적으로 암은 사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심장 질환과 폐렴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질병과 비교해보면 암의 사망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암은 크게 처음 발생한 장기의 암인 원발암(Primary cancer)과 다른 장기로 이동한 전이암(Secondary cancer)으로 나뉩니다. 전이암은 원발암의 암세포가 혈류나 림프계를 타고 이동해 다른 장기에서 새롭게 증식하는 암을 뜻합니다. 특히 전이암은 매우 치명적이며, 암환자의 90%가 전이암으로 사망할 정도로 위험합니다. 따라서 암 치료의 핵심은 암이 전이되기 전에 조기에.. 2025. 2. 18.